희망키움 통장은 자산형성 지원사업으로 자산형성 지원사업이란 수급자나 차상위계층의 사람들이 자활에 필요한 자산을 형성할 수 있도록 재정적으로 도와주는 사업을 의미합니다. 자산형성 지원사업은 크게 희망키움 통장 1,2, 내일키움 통장, 청년희망키움 통장, 청년 저축계좌 등이 있는데 오늘은 희망키움 통장 자격조건에 대해 체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.
목차
- 1. 희망키움통장 지원내용
- 2. 희망키움통장 자격조건
- 3. 희망키움통장 신청방법
희망키움통장 지원내용
희망키움 통장은 크게 1,2 유형 및 내일키움 통장으로 나뉘는데요. 먼저 각각의 유형에 따라 어떤 내용을 지원해주는지에 대해서 먼저 알아본 후 희망키움 통장 자격조건에 대해 체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.
희망키움 통장 1
희망키움 통장 1 유형의 경우 본인 저축액 월 10만 원을 적립하면 정부 지원금 평균 35만 원을 지원해주는 통장입니다. 3년 만기 시 총액의 평균은 1,695만 원이 되며 +이자까지 더해집니다.
희망키움 통장 2
희망키움 통장 2의 경우 본인 저축액은 1 유형과 같이 10만 원고, 정부지원금의 경우 본인 저축액과 동일하게 10만 원이 매칭 됩니다. 3년 만기 시 총액은 720만 원이 되며 이자도 함께 지급됩니다.
내일키움 통장
내일키움 통장의 경우 본인 저축액이 월 5만, 10만, 20만 원일 때 정부지원금(내일 근로장려금 1:1 매칭)과 내일키움 장려금(사업단 유형별 1:1 또는 1:0.5 차등 매칭)및 내일키움 수익금(사업단 매출에 따라 최대 15만 원)을 추가 지급합니다.
희망키움 통장 자격조건
희망키움통장 자격조건도 1, 2 유형 및 내일키움 통장에 따라 조금씩 다릅니다. 각각의 자격조건이 어떻게 되는지 체크해 보겠습니다.
희망키움 통장 1 자격조건
첫 번째로 1 유형의 자격조건의 경우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을 합한 금액이 기준 중위소득 40%의 60% 이상인 생계, 의료급여 수급자 가구를 대상으로 합니다. 즉 근로를 하고 있는 생계, 의료 수급 가구여야 하며 가구 전체의 총소득(근로+사업)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의 40%의 60% 이상인 가구가 되겠습니다.
희망키움 통장 2 자격조건
두 번째 희망키움 통장 2 유형의 자격조건은 총 근로(사업)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50% 이하인 주거, 교육급여 가구 및 차상위 가구를 대상으로 합니다. 즉 일하는 주고, 교육급여 가구 및 차상위 계층 중 가구 전체의 근로 및 사업소득이 중위소득 50% 이하인 가구이어야 하겠습니다.
내일키움 통장 자격조건
내일키움 통장의 자격조건은 자활근로사업단에서 1개월 이상 참여한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며 신청 당시 최근 1개월 이상 자활근로사업단 성실 참여자이어야 합니다. 여기에서 말한 성실 참여자는 월 실제 근무일수가 12일 이상인 자가 되겠습니다.
희망키움 통장 신청방법
희망키움통장 자격조건 및 지원내용에 대해 살펴보았는데요. 그렇다면 신청방법은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.
온라인 신청
희망키움 통장 자격조건에 부합하는 가구의 경우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신청이 가능합니다. 바로 복지로(https://bokjiro.go.kr/)라는 사이트를 통해서 인데요. 간편 인증이나 공동 인증서를 통해 로그인 후 [서비스 신청> 복지급여 신청] 메뉴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.
오프라인 신청
희망키움 통장은 오프라인 방문으로도 신청이 가능한데요. 바로 거주지 읍면동 주민센터나 시군구청을 방문하셔서 신청이 가능합니다.
희망키움 통장의 신청 절차의 경우 초기상담 및 서비스 신청> 대상자 심사> 대상자 확정> 이의신청 접수> 서비스 지원> 사후관리 순으로 진행되겠습니다.
희망키움 통장 공식 사이트
희망키움 통장에 대한 더욱 자세한 내용을 확인 하시려면 희망키움통장 공식 사이트를 방문하여 확인하시면 되겠습니다.
희망내일키움통장
www.hopegrowing.com
▼함께 보아야 할 내용▼
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방법
저소득 청년이 매월 10만 원씩 36개월 저축하면 정부지원금과 더해 최대 1,440만 원을 받을 수 있는 청년 자산형성에 도움을 주는 청년 내일 저축계좌(가칭) 제도를 도입할 예정이라고 하는데요.
oyou5.tistory.com
희망두배청년통장 신청 자격
희망두배청년통장 자격에 대해 꼼꼼히 분석해보도록 하겠습니다. 2020년 서울시가 저축액만큼 매칭해 두 배로 돌려주는 희망두배 청년통장의 신청접수를 마감한 결과, 총 3000명 모집에 1만3천여
oyou5.tistory.com
'정책 제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1년 전기요금 전기세 인상 총정리 (0) | 2021.09.24 |
---|---|
2021년 추석 모임인원 최신 (0) | 2021.09.19 |
국민지원금 사용지역 기간 (0) | 2021.09.07 |
국민지원금 신청방법 (0) | 2021.09.03 |
2021년 추석 열차표 예매 일정 최신 (0) | 2021.08.26 |
댓글